발아, 전개, 만개, 종자 결실, 시드는 모습… 야생화의 전 과정을 생생한 사진으로 담아냈다! 야생 자연상태의 우리꽃, 사진들로 만난다!
가을에 피는 야생화의 모든 것을 담은 『야생화도감』.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야생화의 순우리말은 '들꽃'이다. 산이나 들에 저절로 피어나는 우리 꽃 또는 키우면서 가꾸는 개량되지 않은 야생 상태의 꽃인 야생화는 보통 야생식물이나 들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부르고 있다. 이 책에서는 주변이나 등산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을 중심으로 수록하였다.
야생화연구소 소장인 저자는 산을 다니면서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 주변 생태계를 알 수 있는 전체적인 모습, 군락지 모습, 꽃봉오리 상태, 꽃의 모습, 종자 결실되는 모습 등 그 식물의 전 과정을 생생한 사진을 통해 담아내고 있다. 본문은 들꽃의 생김새, 비슷한 식물 구별하기, 꽃에 얽힌 이야기, 쓰임새 외에 키우고 가꾸는 방법을 자세하게 소개한다.
계절별 야생화를 나눈 기준은 2~5월(봄), 6~8월(여름), 9~11월(가을)에 4~50% 이상 만개한 시기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식물의 특성은 여러 도감을 참조했고 설명이 부족한 경우 뒤에 첨언을 통해 알기 쉽게 구성하였다. 또한, 집안에서 키울 때 관리요령과 번식방법, 용도에 따라 식용ㆍ약용ㆍ관산용으로 분류하였다. 전체컬러.
도서 상세이미지
- 정연옥 박사 야생화연구소 소장(원우바이오텍), 원광대학교 대학원 농학박사, 마산대학 약재개발과 겸임교수, 야생화 개인사진전 6회 개최. 저서로는 <울타리 안에서 기르는 야생화 재배와 이용> 등이 있다.
- 박노복 교수 국립한국농업대학 화훼학과 교수, 원광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졸업(농학박사),덴마크 왕립농과대학 원예학과 수학, 네덜란드 국립구근연구소 연수,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상임이사, 한국원예학회 상임이사, 한국조직배양연구회 이사. 저서로는 <울타리 안에서 기르는 야생화 재배와 이용>, <나리 새로운 경영기법> 등이 있다.
- 곽준수 교수 원광대학교와 동대학원 졸업(학사, 석사), 전북대학교 농학박사, 진안약초시험장 연구실장, 원광대학교, 전북대학교, 원광대한의학전문대학원 강사, 원광보건대 겸임교수, 마산대 한약재개발과 교수(학과장), (현)영산대학교 한국식품조리학과 교수, (현)영산대학교 약선연구소 소장(겸직). 저서로는 <약초의 생산과 이용>, <한약재생산학>, <한약재분류학>, <약선포제학>, <약선재료분류감별학>, <초근목피약선> 외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 정숙진 선생 경인교육대학교 졸업, 신지초등학교 교사를 거쳐 현재 발안초등학교 교사로 재직 중이며 「서해안․남해안 갯가식물 보고서」(2006~2007년), 「고산식물 및 야생화 분포 조사」(2007년~현재)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