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으로 풀어본 이야기 본초강목. 저자는 20여 년간 약초 연구와 함께 민간요법 및 약초에 관한 전설, 실화 등을 수집하면서 약초 이야기를 통해 그 비방과 묘방을 발견하게 되었고, 여기에 각 약물에 얽힌 사연들과 약물의 이름이 생겨난 유래, 이에 관련된 약효와 치료경험을 중심으로 알기 쉽게 풀이했다. 한의학에 관심있는 일반인들도 쉽게 본초강목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저자 이풍원은 ㆍ동국로얄 한의대(Dongguk?Royal Univ. of America, L.A.) 졸업ㆍ유인 한의대(Yuin University, Compton)에서 한의학박사 획득ㆍ미국 Who's Who(명인록) 2000∼2001판, 2001∼2002판 명의(名醫)로 등록ㆍ전 동국로얄 한의대(Dongguk?Royal Univ. of America, L.A.) 교수 역임ㆍ전 황제 한의대(Emperor's College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교수 역임ㆍ전 삼라 한의대(Samra University, L.A.) 교수 역임ㆍ전 가주 한의사 협회 부회장과 총무 역임ㆍ전 미주판 중앙일보 「민간요법」, 「의학상담」, 「지압요법」, 「이풍원의 이야기 한방」, 「이풍원의 신민간요법」 컬럼 기고ㆍ현 이풍원 한의원(Lee, Peter's Acupuncture Clinic, L.A.) 개원.
5.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 1. 쌍둥이 딸의 무덤에 핀 인동초-금은화(金銀花) 2. 피부병과 안탕산-금은화(金銀花) 3. 처녀 젖가슴에 생긴 종양-포공영(蒲公英) 4. 생인손-자화지정(紫花地丁) 5. 이무기와 바늘 갑옷-칠엽일지화(七葉一枝花) 6. 편작과 반신불수-우황(牛黃) 7. 피를 멎게 한 갈색 주머니-마발(馬勃) 8. 못된 시어머니와 동양식-마치현 9. 남극선옹의 비방-백두옹(白頭翁) 10. 이독공독(以毒功毒)-독충(毒蟲)
6. 청허열약(淸虛熱藥) 1. 열병 환자와 병사-백미(白薇)
7. 사하공하약(瀉下攻下藥) 1. 오황 선생의 죄-대황(大黃)
8. 거풍습약(祛風濕藥) 1. 병든 남편에 대한 아내의 순애보-위령선(威靈仙) 2. 동자승의 꾀-위령선(威靈仙) 3. 하인의 꾀-상기생(桑寄生) 4. 술독에 빠진 뱀과 사람-오풍사(烏風蛇)
9.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1. 돌팔이가 준 약초-창출(蒼朮) 2. 일곱 개의 반점-창출(蒼朮) 3. 불로장생약-창출(蒼朮) 4. 두 여승-창출(蒼朮) 5. 시누이와 올케의 사랑-패란(佩蘭)ㆍ곽향(藿香)
10. 이수삼습약 1. 남편을 독살한 아내-복령 2.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복령(茯岺) 3. 의이명주(薏苡明珠)-의이인(薏苡仁) 4. 마차 앞에서 발견한 약초-차전초(車前草) 5. 담석을 녹여버린 풀-금전초(金錢草) 6. 3월 쑥은 약, 4월 쑥은 불쏘시개-인진호(茵陳蒿)
11. 온리약(溫裏藥) 1. 오유로 인한 단교와 국교-오수유(吳茱萸)
12. 이기약(理氣藥) 1. 죽어서 약초가 된 아버지-팔월찰(八月札) 2. 쌍녀봉이 된 두 선녀-오약(烏藥)
13. 소식약(消食藥) 1. 계모의 흉계-산사 2. 달걀 도둑-신곡(神曲)
14. 지혈약(止血藥) 1. 학이 물어다 준 약초-선학초(仙鶴草) 2. 나무꾼과 신선-선학초(仙鶴草) 3. 황제의 근위대장-백급(白及) 4. 소녀와 원숭이-삼칠(三七) 5. 3년에서 7년을 길러야-삼칠(三七)
15.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1. 죽은 아버지의 뱃속에서 나온 덩어리-삼능(三稜) 2. 효성 지극한 소년의 기지-익모초(益母草) 3. 노루의 보은-익모초(益母草) 4. 스승과 제자-우슬(牛膝) 5. 꽃뱀과 유기노의 혈투-유기노(劉寄奴) 6. 거머리로 어혈 치료-수질(水蛭) 7. 가난한 자들의 의원-수질(水蛭)
16.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1. 노선옹이 준 씨앗-길경(桔梗) 2. 백가장 여관 앞의 약초-백전(白前) 3. 두 개의 금박-과루(瓜蔞) 4. 아기를 잡아먹은 어머니-패모(貝母)
17. 안신약(安神藥) 1. 무당과 의원-주사(朱砂) 2. 유인원과 포유동물의 화석-용골(龍骨) 3. 죽은 산모를 구한 호박-호박(琥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