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도감,곤충도감,식물보호기사,자원식물
새로운한국수목대백과도감
§ 한 국 의 수 생 식 물 과  § 생 활 주 변 식 물 도 감
식물도감
식물도감(분류별)
원예 / 조경
동물도감
곤충도감
조류도감
어류도감
농업서적
기타도감
자격증/수험서
자연이야기
신종플루 출생 비밀의 추적
식물이야기
동물이야기
멀티미디어
의학
요리
밥따로물따로
 
Home  > 조류도감
생태탐사의 길잡이 4 주머니 속 새도감  
정가 : 15,000원
판매가 : 14,250원 (5%할인)
적립금 : 285 원 (2% 적립)
ISBN(13) : 9788989370529
저자 : 강창완 | 김은미 (지은이)
출판사 : 황소걸음
출간일 : 2006-12-20
페이지 : 반양장본 | 360쪽 | 150*114mm
구매수량
:
개    
배송정보 : 이 상품을 포함하여 3만원 이상 구매시 배송비가 무료입니다.
 

1. 새를 만나러 갈 때 갖고 가는 야외용 새 도감


청청한 하늘 끝

푸르른 저 산맥 너머 떠나가는 새

왜 날 울리나

덧없는 가없는 저 눈부신 구름

아아 묶인 이 가슴.


군부 독재시절, 김지하 시인이 감옥의 창문 너머로 날아가는 구름과 새를 보고 지은 ‘새’의 일부입니다.

자유를 갈망하는 시인의 절절함이 묻어나는 시입니다. 창공을 나는 새는 예로부터 자유와 평화와

사랑의 메신저이자 상징이었습니다.


새를 사랑하는 많은 이들이 더 많은 새를 만나기 위해 쌍안경이나 망원경 등 탐조장비를 가지고 나갑니다.

이때 두껍고 무거운 도감을 함께 들고 나가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생태 탐사의 길잡이 『주머니 속 새 도감』은 작으면서도 많은 종류의 새들이 담겨 있어,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니며 새를 만날 때마다 새의 이름과 특징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특수 제본(PUR 제본)을 적용하여 잘 펼쳐지고 튼튼합니다. 아마추어와 어린이들이

새와 가까워지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야외용 새 도감입니다.



2. 『주머니 속 새 도감』의 특징


우리나라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새 301종을 소개하며, 새의 식별 포인트를 보여주는 650여 장의 생태 사진을 실었습니다.

천연기념물 36종, 멸종 위기종 46종과 큰군함조, 팔색조, 삼광조 등 희귀 새도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작은 책이지만 여백을 최소화하여 사진을 최대한 크게 실었으며, 새의 특징이 잘 보이는 옆모습 사진을 주로 실었습니다.


새의 구조와 기본적인 용어 설명은 물론 새를 관찰할 때 살펴볼 곳과 관찰 수칙, 여름깃과 겨울깃의 차이,

새 부리의 유형, 발가락의 생김새 등 새를 관찰할 때 필요한 정보와 새의 크기, 사는 곳, 나타나는 때, 먹이,

개체수의 많고 적음 등 새의 생태 정보까지 모두 수록하였습니다.


책이 잘 펼쳐지지 않거나 다시 접혀 보기에 불편한 일반 제본의 단점과 잘 펼쳐지기는 하나 시간이 지나면

꿰맨 종이가 떨어지는 양장 제본의 단점을 보완한 제본 방식이 PUR 제본입니다.

『주머니 속 새 도감』에는 PUR 제본 방식을 적용하여 잘 펼쳐지고 튼튼해 야외에서 보기 편리합니다.




 

강창완․김은미 님은 새를 보다가 부부의 인연을 맺었습니다.

강창완 님은 새의 역동적인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
생태 다큐멘터리스트로,
방송을 통해 새들의 생활을 대중에게 소개하며,
김은미 님은 새를 연구․조사․기록합니다.


제주도의 ‘새부부’로 잘 알려진 두 분은 1년에 300일 정도는 야외에서 새를 관찰합니다.

또 길을 잃거나 다친 새들을 정성껏 돌봐 자연으로 돌려보내며 늘 새와 더불어 삽니다.

부부는 새와 사람들이 함께 하는 아름다운 모습이 계속되기를 바랍니다. 



저자의 한 마디

처음 새를 만날 때 가장 난감했던 점은 새들이 모두 똑같아 보인다는 것이었습니다. 당시에는 도감도 부족했고, 있어도 야외에 나갈 때 들고 다닐 엄두가 나지 않을 정도로 크고 두꺼웠기 때문에 작으면서도 많은 종이 수록된 도감이 늘 아쉬웠습니다. 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많아진 요즘도 야외에 갖고 다니면서 펼쳐 보기 쉬운 새 도감이 있었으면 하는 바람은 여전합니다. 처음 새를 만나고 새를 보는 눈을 키워 가는 분들께 실용적인 사진 도감을 선물하고 싶다는 생각이 이 도감을 만든 계기입니다. - 강창완, 김은미

 

새와 사람의 아름다운 공존을 꿈꾸며

새의 구조와 관찰
용어 설명
새의 구조
여름깃과 겨울깃
부리는 어떻게 생겼을까?
발가락은 어떻게 생겼을까?
새와 사람
새를 관찰할 때 살펴볼 곳
새 관찰 수칙 10가지

물새

산새

멸종 위기의 새들


 
별점평가
제목
 
내용
Total : ( 0 )
상품후기 별점평가 글쓴이 등록일